가인(Gain) - Hawwah 앨범에 사용된 폰트

 TV를 보거나 서적을 읽을 때 가끔씩 마음에 드는 폰트를 발견하게 되면 각종 폰트 회사를 뒤져서 찾아보곤 합니다. 이번에는 브아걸 가인님의 앨범 'Hawwah'에 사용된 글꼴을 찾아봤습니다. 앨범 커버의 영문과 트랙 리스트에 사용된 한글 폰트를 찾아봤어요.


 가인님의 앨범 하와는 성경 내용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음악입니다. 앨범과 트랙 리스트에 사용된 폰트가 분위기에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봤습니다.

앨범 커버입니다. 다른 그림 없이 글자로만 디자인되었습니다.

앨범의 트랙 리스트입니다.
 이미지는 예스24 앨범 판매 페이지와 인터넷 기사에서 가져왔습니다. 이미지의 저작권은 가인님과 가인님 소속사에 있습니다.


 먼저 영문 폰트입니다. 글꼴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세리프가 있습니다.
2. 'g', 'a', 'r', 't', 'y'의 끝부분이 둥글게 말렸습니다.
3. 가로획과 세로획의 두께 차이가 큽니다.
4. 'P'의 경우 획이 떨어진 채로 끝납니다.
5. 'g'의 루프 모양(밑부분을 말합니다)이 말려 있습니다.

 사실 영문 폰트의 경우 이미지 검색 프로그램이 잘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찾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굳이 특징들을 살펴볼 필요 없이 바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비슷한 폰트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그 중에서 찾으시면 돼요.

 하와 앨범에 사용된 영문 글꼴은 'Questa Grande'입니다. 퀘스타라고 읽으면 될 것 같네요.


 The Questa Project로 만들어진 폰트로, 서체 디자이너 Martin Majoor와 Jos Buivenga가 협력하였습니다. 깔끔해서 잡지 제목같은 곳에 사용하기 좋아 보이네요. 프로젝트 사이트에서 퀘스타 프로젝트의 결과물 40개 중 4개를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The Questa Project http://thequestaproject.com/free.html

 또한 Adobe Fonts이기 때문에 Creative Cloud를 구독했다면 개인 및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혹시 모르니 따로 저작권 관련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한글 폰트입니다. 글자가 작아서 화질이 안 좋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1. 바탕(명조)체 - 부리와 맺음(글자 끝부분들)이 있습니다.
2. 'o'에 상투가 있습니다.
3. '여'의 'ㅇ'과 'ㅕ'의 밑부분이 일 자로 만나며 가깝게 붙어있습니다.
4. 'ㅈ'의 각도와 길이가 특이한 편입니다.
5. 'ㅊ'과 'ㅎ'의 꼭짓점(윗부분)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6. 'ㅟ'의 'ㅜ'와 'ㅣ'가 붙어있습니다. 이미지가 작아서 그렇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어요.
7. '도'의 'ㄷ'과 'ㅗ'가 붙어있습니다. 이미지가 작아서 그렇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8. 'ㄹ'의 여백 크기를 비교했습니다.

 'ㄹ'의 모양을 특징에 넣은 이유는 다른 문자가 다 비슷해도 '라', '리' 등의 문자에서 'ㄹ'이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와 앨범에 사용된 폰트는 아시아폰트의 'a신신명조'입니다.


 이미지는 한글마을에 올라온 글꼴 소개입니다. 깔끔한 명조체입니다. 아시아폰트는 개인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려면 라이센스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가끔 이걸 모르고 사용했다가 신고 당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폰트 이름 앞에 'a'가 붙어 있다면 아시아폰트이니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시아폰트 http://www.asiafont.com/asfont/

 굵기 별로 있는데 아마 M으로 추정됩니다. '두 여자'는 맞는 것 같은데 다른 글자는 너무 작아서 긴가민가 했습니다. 정갈한 느낌이 드는 글꼴이네요.


 가인님의 하와 앨범에 사용된 폰트는 Questa Grande a신신명조M이었습니다. 둘 다 이번에 찾으면서 처음 알게 된 폰트네요. 하와 앨범의 주제였던 교회, 신앙, 신전 등과 잘 어울리는 서체들입니다. 평범한 산세리프, 명조처럼 보일 수 있어도 획의 길이나 각도에 따라 미묘하게 느낌이 다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쓰기

0 댓글